Беглые гласные

: 출몰모음

출몰모음이란 단어의 굴절(формообразование, inflection) 시 특정의 형태음운론(морфонология, morphophonemics)적 조건에서 탈락하는 어간 모음을 말한다. 현대 러시아어에서 출몰모음으로 나타나는 모음은 /e/와 /o/이다. 어간 변동(чередование, alternation)의 시각에서 보자면, 출몰모음 현상은 ‘모음~없음(영, нуль)’의 교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출몰모음의 역사적 기원은 고대러시아어 약화모음(редуцированные гласные, aka ‘еры/ёры’) /ъ ь/이고, ‘모음-없음’의 교체는 이 두 약화모음의 변화에 결과한다.


[자료] 출몰모음을 보이는 단어를 몇 개의 범주로 나누어 예시해 보면,

(1) сон сна, день-дня; окно-окон, сестра-сестёр; любовь-любви-любовью,

(2) дубок-дубка, купец-купца, сказка-сказок, сердце-сердец

(3) нужен-нужна, горек-горька, божий-божья, светел-светла

(4) весь-вся, восемь-восьми


[기술] (1)에 예시된 명사들을 보면, 제1식 남성 명사의 경우 출몰모음은 단수주격형에서 출현하고, 나머지 모든 굴절형에서는 탈락한다. 제1식 중성명사와 제2식 여성명사에서는 출몰모음은 복수생격형에서만 출현하고, 나머지 모든 굴절형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제3식 여성명사에서는 단수주격형과 단수조격형에서 출몰모음이 출현하고, 나머지 굴절형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2)는 파생 접미사를 가지는 명사를 예시한다. (1)의 명사와 마찬가지로, 제1식 남성명사는 단수주격형에서, 제2식 여성명사와 제1식 중성명사는 복수생격형에서 출몰모음을 보인다. (3)은 단형 형용사 및 물주 형용사를 예시하는데, 단형 형용사의 경우 남성단수형에서 출몰모음이 나타나고, 물주 형용사에서는 남성단수주격형에서 출몰모음이 나타난다(이 경우 출몰모음 /e/는 <и>로 적힌다). (4) 출몰모음을 보이는 대명사와 수사를 예시한다. 이밖에도 출몰모음은 전치사 ‘об от с под’ 등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특정의 형태음운론적 조건에서 출몰모음 /o/를 보인다. 가령, ‘обо мне, ото всего, во сне, подо что’ 등.


[분석과 설명] 러시아어의 출몰모음 현상과 관련해서 제기되는 문제점으로는 첫째, 출몰모음을 보이는 단어들은 어휘적으로 예측 가능한가의 문제, 둘째, 해당 단어들이 가지는 출몰모음은 언제 출현하며, 출현한 출몰모음의 음운적 성격은 예측 가능한가의 문제, 셋째, 출몰모음을 ‘모음~없음’의 교체로 볼 때, 해당 단어의 기본적 어휘형은 무엇으로 삼을 것인가의 문제 등이다. 첫째 문제와 관련해서는 출몰모음의 존재는 어휘소의 어휘적 특성(가령, 음운적 구조나 형상, 강세, 또는 어휘소의 어휘적 의미 등)으로 예측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개별 어휘소 자체의 특이성으로 어휘적으로 명세되어야 한다. 두 번째 문제로, 출몰모음의 출현 조건은 음운론적으로 규정되어서, 굴절어미가 영 어미이거나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일 경우에 어간 말 자음군 사이에 출현하며, 굴절어미가 모음으로 시작되는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출몰모음의 정체성 문제, 즉 /e/인지 /o/인지의 문제는 강세 여부에 따라 대체로 예측 가능하다. 즉, 해당 출몰모음이 강세를 받는 경우에는 자음군의 연음성(мягкость, sharping) 자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a) 자음군의 자음들이 모두 연자음(과 /ц/)이면 예외없이 /e/이고(가령, де́нь-дня, земля-земе́ль, купе́ц-купца, 등), (b) 자음군의 선행 자음이 연자음(과 소위 ‘쉬음шипящие’)이고 후행 자음이 /m v t/인 경우에는 /e/이고(가령, тьма-те́м корчма-корче́м льва-ле́в, хребе́т-хребта, 등), (c) 이 외의 모든 경우에는 /o/ 이다. 해당 출몰모음이 비강세이고, 비강세 모음의 약화(즉, екание/икание) 현상으로 인해 /e/와 /o/의 발음 구별이 안 되는 경우, 자음군의 선행 자음이 연자음으로 명세되어 있다면 두 모음을 변별하는 [round] 자질을 명세할 필요가 없다(‘ø’로 표기). 현대러시아어에서 /e/와 /o/는 둘 다 [e] 또는 [i]로 발음되기 때문이다(가령, осёл-осла, у́зел/uz’øl/-у́зла).


[이론적 문제점] 위에서 세 번째로 제시한, 출몰모음을 가지는 어휘소들의 어휘형의 어간을 어떻게 표상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이론적 측면을 아울러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학자마다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논란이 되는 점은 출몰모음의 어휘적 명세 여부와 만약 명세한다면 어떻게 명세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즉, 어휘형을 출몰모음이 없는 굴절형을 토대로 설정할 수도 있고, 출몰모음이 출현하는 굴절형을 토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첫 번째 방식은 굴절형에서의 출몰모음의 출현조건과 그 정체성을 문법적 기술 내용으로 삼아야 할 것이고(가령, 굴절형 сон-сна ⇨ 어휘형의 어간 /sn-/), 두 번째 방식은 출몰모음을 어떻게 표상해야 할 것인가를 주요 문법 기술로 삼아야 한다. 그 방식에는 이론적 입장에 따라 적어도 세 가지 표상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추상적인 형태음운 {#}를 설정하여, 이 형태음운이 음운적으로 실현될 때, 조건에 따라 /e o/의 음운으로 실현되거나 /ø/의 음운으로 실현된다고 기술할 수 있다(가령, {s#n-}). 다른 하나는 교체되는 ‘모음’과 ‘영’을 추상적인 음운 /ъ ь/으로 표상하여, 조건에 따라 [e o]의 음성으로 실현된다고 기술하는 입장이다(가령, /sъn-/). 이러한 입장은 출몰모음의 역사적 기원인 약화모음을 현대러시아어의 음운으로 가정한다. 마지막으로 굴절형에서 보이는 출몰모음을 어휘형의 음운 /e o/ 또는 [round]가 비명세된 모음으로 표상하고, 조건에 따라 강세 [é ó] 또는 비강세 [e/i]로 발음되거나 탈락한다(가령, /son-/).


[부기] 예외적으로 출몰모음이 /i/인 경우도 있는데, 약간의 논의가 필요하다. 우선 출몰모음이 강세 /í/인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자의적으로 어휘항목에 명시되어야 한다. оди́н-одна, яйцо/jajc-o/-яи́ц/jajíc-ø/. 문자 <и>로 표기되었고, 강세 시 발음이 /í/이기 때문에 출몰모음을 /i/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비강세 출몰모음이지만 문자 <и>로 표기된 경우에는 해당 출몰모음을 [round]에 무표적인 중(中)모음이나 /e/로 간주될 수 있다. 가령, бо́жий-божья, тре́тий-третья, лгунья-лгу́ний копьё-ко́пий, 등. <е>로 표기된 예로는, чи́рей-чирья, ружья-ру́жей, 등. 전이음 /j/ 앞에 위치한 출몰모음을 <и>로 표기한 이유에 대한 역사적 설명으로는 소위 ‘긴장 예르(tense jer)’의 발달을 보라.


연관 표제어


굴절(словоизменение, inflection), 형태음운론(морфонология, morphophonemics)], 교체/변동(чередование, alternation), 약화모음(редуцированные гласные, ‘еры/ёры’), 연음성(мягкость, sharping), 어휘형(форма лексемы, lexical form)



참고자료


최성호. Vowel-zero alternation in Russian nominal inflection, 슬라브어연구 1, 45-74, 1996.

Flier, M. S. Lightner on Russian Phonology, Russian Linguistics 1, 295-311, 1974.

Ворунова, С. Н. и др. Орфоэп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o языка, М. Русский язык, 1983.

Зализняк, А. А. Граммат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ловоизменение, М. Русский язык, 1980.

Чурганова, В. Г. Очерк русской морфонологии, М. Наука, 1973.

Bybee J., Perkins R., Pagliuca W. The Evolution of Grammar: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